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운드리 뜻 쉽게 정리

카테고리 없음

by 호랑멍멍 2021. 1. 24. 17:41

본문

파운드리 뜻 쉽게 정리

요즘 삼성전자와 관련해서 <파운드리>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TSMC라는 대만 업체와 관련해서도 그렇구요. 과연 파운드리가 어떤 뜻인지 아래에서 쉽고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파운드리 뜻


파운드리의 뜻부터 간단히 파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파운드리(Foundry) : 반도체의 제조 과정만을 전담하는 위탁 생산업체를 지칭하는 말

파운드리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제조 업체에 대해서 파악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설계부터 제조까지 반도체와 관련된 과정의 얼마만큼을 담당하는지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3개의 업체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 반도체 설계 기술만을 가진 업체 : 팹리스

 반도체의 제조 과정만을 전담하는 업체 : 파운드리

 반도체 설계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모든 분야를 자체 운영하는 업체 : 종합반도체업체(IDM)

즉, 위에서 보시듯이 파운드리 업체는 반도체의 설계는 맡지 않고 외부에서 설계된 자료를 바탕으로 반도체를 제조/생산하는 과정만을 담당합니다. 

한줄로 말해, 파운드리는 위탁하는 업체의 제품을 설계도에 따라 대신 생산해주는 업체인 것입니다.


 

세계의 대표적인 파운드리 기업은?


삼성전자 관련 뉴스와 관련해서 파운드리라는 단어가 자주 언급되는데요. 이유는 바로 한국의 삼성전자가 세계 2위의 파운드리 업체이기 때문입니다. 1위는 대만의 TSMC라는 업체입니다.

<2020년 2분기 기준 세계 파운드리 매출 순위>

위에서 보시듯이 우리나라 삼성전자는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2위의 업체입니다. 현재 부동의 1위는 대만의 TSMC라는 업체이구요. 전체적으로 1,2위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점시장입니다. 

최근 파운드리 관련해서 삼성전자의 주가가 오르는 것은 1위인 TSMC와의 격차를 점차 줄여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파운드리 점유 2위 삼성전자, 10위 DB하이텍

우리나라 업체인 DB하이텍이라는 회사는 매출액 약 1,900억원으로 세계시장 0.8%를 차지하며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순위 10위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파운드리 뉴스에 언급되는 한국기업은 삼성전자와 DB하이텍 두 업체입니다.


 

삼성이 반도체는 1위 아니었어?

- 메모리반도체 VS 시스템반도체 차이


메모리반도체 분야의 전통강자, 삼성전자

아마 많은 분들이 한국의 삼성전자 하면 세계 반도체 1등으로 인식하고 계실 텐데요. 이것은 바로 삼성이 메모리반도체 부분의 세계 1위 강자인 것에서 유래합니다.

우리가 흔히 뉴스에서 듣는 D램, 낸드플래시 등을 메모리반도체라고 하는데요. 2020년 기준으로 스마트폰용 D램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전자는 점유율 54%로 세계 1위입니다. 2위는 역시 우리나라 기업인 SK 하이닉스(24%), 3위는 마이크론(20%)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위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78%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분야에도 사활을 걸다.

시스템반도체 시장 규모는 메모리반도체 분야 대비 2배 이상 크다고 알져려 있습니다. 5세대 통신(5G), 고성능 컴퓨팅(HPC), 인공지능(AI) 등의 발전 수요에 따라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꼽히는 분야입니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세계 1위를 차지하겠다는 비전 아래에 대만의 TSMC를 따라잡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9년 4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런 포부를 담아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시스템반도체 분야 글로벌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어떤가요? 이제 파운드리라는 용어에 대해서 이해가 되셨겠지요.

최근 동학개미의 주식매수 열풍으로 삼성전자 주가에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는데요. 모쪼록 삼성전자가 목표한 바대로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승승장구하여 기업가치도 올리고, 삼성에 투자한 국민들도 주주로서 이익을 환원받게 되기를 응원하며 바라보아야 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영역